- 계좌 구조
현재 시스템은 크로스 마진의 계좌 구조를 지원하고 있으며, 풀 마진 구조를 지원하고 있지 않습니다.
크로스 마진 유형은, 매 포지션의 증거금이 모두 독립적이며 다른 포지션과 같이 계산되지 않습니다.
자주 쓰는 용어:
이전: 유저의 다른 계좌 간 자금을 이전하는데 쓰임(코인-코인, 옵션, 선물)
포지션 증거금: 포지션 점유 증거금, 매수 증거금
위탁 증거금: 미 성사 주문 증거금. 수수료 및 동결 증거금을 포함
실현 손익: 포지션 매도로 인한 실제 수익. 증거금으로 사용할 수 있으며 인출할 수 도 있음
미실현 손익: 현재 소유하고 있는 모든 계약이 매도 되기전의 손익 상황.
방향: 매수 롱포지션과 매도 숏포지션으로 나뉨
레버리지: 매수 레버리지
포지션: 포지션 수량
포지션 가치: 계약 승수*포지션 수량/최신 거래 성사 가격
포지션 증거금: 포지션 점유 증거금, 동결된 증거금. 시장 가격의 변동에 따라 포지션 증거금 또한 변화함. 해당 포지션의 증거금은 실시간으로 증가 및 감소 가능
매수 균가: 포지션 평균 매수 가격
예상 강제 청산 가격: 최신 가격이 해당 가격에 도달할 시, 시스템이 즉시 강제 청산 진행
증거금 비율: 포지션 증거금/포지션 가치
가격 지수: BTC지수. Bitstamp, Kraken, Coinbase Pro, Gemini 출처 평균 가격
미실현 손익: 현재 소유하고 있는 모든 계약이 매도 되기전의 손익 상황. 주의: 미실현 손익은 현재(숏포지션) 포지션의 미실현 손익일 뿐입니다.
오른 쪽 구역은 빠른 매도에 사용됩니다. 청산 방식은 지정 가격, 시장 가격, 상대 가격, 큐 프라이스, 오버 프라이스가 있습니다. 자세한 청산 방식은 위탁 관리를 참조해 주시기 바랍니다.
- 손익 계산
유저는 마켓의 시세 및 개인 의향에 따라 계약 매수 및 매도를 결정할 수 있습니다.
실현 손익이란 유저가 실제로 청산할 때 발생한 손익을 가리킵니다.
계약 실현 손익:
매수 측: 계약 실현 손익= (계약 승수/평균 매수 가격- 계약 승수/평균 매도 가격)*매도 수량
예로, 모 유저가 평균 매수 가격 800USDT/BTC로 100 계약 BTC 계약을 매수하고, 평균 매도 가격 1600USDT/BTC로 100계약 모두 매도했을 경우, 실현 손익=(1/800-1/1600)*100=0.0625BTC가 됩니다.
매도 측: 계약 실현 손익= (계약 승수/평균 매도 가격-계약승수/평균 매수 가격)*매도 수량
예로, 모 유저가 평균 매수 가격 800USDT/BTC로 100계약 BTC 계약을 매도하고, 평균 매도 가격 1600USDT/BTC로 100계약을 매수했을 경우, 계약 실현 손익=(1/1600-1/800)*100=-0.0625BTC가 됩니다.
계약 미실현 손익:
매수: 계약 미실현 손익= (계약 승수/평균 매수 가격-계약 승수/최신 거래 성사 가격)*포지션 보유 수량
예로, 모 유저가 평균 매도 가격 500USDT/BTC로 6계약 BTC 계약을 매수한 후, 현재 최신 거래 성사 가격이 600USDT/BTC가 되었다면, 미실현 손익= (1/500-1/600)*6=0.002BTC가 됩니다.
매도: 계약 미실현 손익= (계약 승수/최신 거래 성사 가격-계약 승수/평균 매도 가격)*포지션 보유 수량
예로, 모 유저가 평균 매수 가격 500USDT/BTC로 6계약 BTC를 매수한 후, 현재 최신 거래 성사 가격이 600USDT/BTC가 되었다면, 계약 미실현 손익=(1/600-1/500)*6=-0.002BTC가 됩니다.